MEDIA WILL1

사이트맵으로 이동
2,30대는 “정시 출근” vs 40대 이상은 “미리 출근” 2019.10.24




생활밀착 일자리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(대표 장영보)이 직장인 8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직장 및 직장생활 등에서 세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.


먼저 직업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묻는 질문에 30(44.7%), 40(49.4%)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의견이 많은 반면 20(50%), 50대 이상(52%)중요한 편이다는 의견이 많았다.


직장인들은 자기분야에서 정상까지 올라가려는 욕구보다는 가능한 길게 일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. 모든 연령대가 직장인으로서 승진과 관계없이 가능한 정년까지 직장생활’(61.3%)을 하고 싶다고 밝혔으며 최고 임원까지 도전’(12%)하고 싶다는 의견은 전 연령대 모두 가장 낮은 비율의 답변을 내 놓고 있었다.


직장 선택 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급여’(40.4%)를 꼽으며 대동단결하는 모습을 보였다. 그러나 2위의 경우 연령별 차이를 보였는데 20대의 경우 복리후생을 그 외 연령대에서는 고용안정성을 꼽아 연령이 높아질수록 고용안정성을 중요시 하는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.


선호하는 직장의 복지제도로 20(33.3%), 30(35%) 직장인은 출퇴근 관련 제도 1위로 꼽았으며 40대는 정기 상여금’(32.9%), 50대는 의료·건강 지원’(28%)을 가장 많이 선택하며 연령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.


업무와 관련해 가장 합리적인 의사소통 방식으로는 다수가 참여하는 회의’(30.8%), ‘일대일 대면 미팅’(30.5%), ‘업무용 메신저’(24%)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연령별로는 차이를 보였다. 20대의 경우 일대일 대면 미팅’(53.3%)을 압도적으로 선호했으며 30대의 경우 업무용 메신저’(30.1%)40(32.9%), 50대 이상(44%)다수가 참여하는 회의를 선호하고 있었다.


출근시간에 대한 생각은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의견이 확실히 나뉘고 있었다. 20(81.7%), 30(63.1%)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출근시간에 늦지 않으면 된다는 반응이었지만 40(53.2%), 50대 이상(70%)출근시간 보다 일찍 출근해 업무 시작 준비를 완료해야 한다고 답해 출근시간에 대한 세대별 반응은 극명하게 나뉘고 있었다.


조직문화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일과 사생활을 철저히 구분하는 문화’(47.3%)를 선호한다고 답했다. 연령별로는 20, 30, 40대는 일과 사생활을 철저히 구분하는 문화를 1위로 꼽았으나 50대 이상의 경우 다른 연령과는 상반되는 서로 챙겨주는 가족 같은 문화’(48%)1위로 꼽아 눈길을 끌었다.


응답자의 10명 중 9명은 팀원들간의 친밀도가 팀워크에 영향을 미친다’(88.3%)고 답했다. 자세히 살펴보면 40, 50대 이상의 경우 매우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응답자가 많은 반면 20, 30대는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답해 연령별 친밀도가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.


이와 함께 업무적인 사항 외에도 팀원들 간 서로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38.7%어느정도 필요하다고 답했다. 하지만 이 질문 역시 연령별 응답률에는 차이를 보였는데 20대는 필요하지 않다’(50%), 30대는 보통이다’(35.9%), 40(44.3%) 50대 이상(56%)어느정도 필요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.


목록